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지식

국제유가 상승, 다시 인플레이션 불씨를 지피다

by 흰보리 2025. 10. 10.

안정세를 보이던 물가에 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가 가파르게 오르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죠. 이번 유가 상승의 원인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유가 급등의 주요 배경

최근 브렌트유와 WTI(서부텍사스유)는 모두 배럴당 9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감산을 연장했고,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공급 불안이 커진 것이 핵심 요인입니다.

여기에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와 달러 강세가 더해지면서 투자자들의 유가 상승 기대 심리가 강하게 작용했습니다.

원유 수급과 글로벌 경제 영향

2. 인플레이션 압력 다시 커진다

유가 상승은 생산비용과 운송비를 자극하면서 전반적인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 항공·운송료, 석유화학 제품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고, 기업들은 이를 소비자 가격에 일부 전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유가 상승이 곧바로 무역수지와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유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대응 투자전략

3. 유가 상승기에 유효한 투자 전략

  • 에너지 관련 ETF·기업 – 유가 상승의 직접 수혜 종목 주목
  • 배당주 비중 확대 – 인플레이션기엔 안정적 현금흐름이 중요
  • 원자재 ETF·금 – 물가 불안 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작용
  • 소비재 리스크 관리 – 제조·유통업체는 비용 압력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필요

결론: 물가 안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유가 상승은 단기 이벤트가 아니라 세계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전환이 진행 중인 만큼 공급망의 탄력성이 떨어졌고, 그만큼 유가 변동에 대한 충격도 커진 상태죠.

지금은 물가가 다시 오르는 초입 구간일 수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이 시장 심리를 이끄는 시대”**, 이에 맞는 장기적인 리스크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출처

Reuters :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oil-prices-hit-90-barrel-opec-cuts-tighten-supply-2025-09-30/

TradingEconomics : https://tradingeconomics.com/commodity/crude-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