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지식

24시간 외환시장 개방 결정, 원화 흐름은 어떻게 될까?

by 흰보리 2025. 9. 26.

정부가 외환시장을 거의 24시간 거래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원화와 수출 기업, 투자자 포지션에 미칠 영향이 주목받고 있어요. 이 변화를 투자자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지 정리해봤습니다.

외환시장 개방과 원화 흐름

1. 외환시장 개방 확대의 의미

지금까지 외환시장은 오후 3시 30분에 닫았지만,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영업 시간이 제거되어 거의 24시간 거래가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 접근성을 높여 자본 유입을 촉진하자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2. 원화, 약세 지속 가능성도 열려 있다

발표 직후 원화는 약세 흐름을 보였고, 시장 기대가 너무 높게 형성되면 되돌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개방 확대가 거래 유동성을 늘릴지라도 단기 충격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을 수 있어요.

3. 투자자라면 지금 점검해야 할 전략

  • 환헷지 전략 재검토 – 외환시장의 유동성 확대는 변동성 확대 요인이 될 수 있어서 대비 필요
  • 채권·고정금리 자산 비중 확대 – 금리 인하 기대 구간에서 진입 타이밍 고려
  • 수출업종 선별 강화 – 원화 약세 수혜 가능 업종과 관세 리스크 중심 업종 구분
  • 리스크 시나리오 수립 – 시장 과열 또는 역풍 시 빠르게 대응할 계획 마련

결론: 유동성 확대가 기회가 될까?

외환시장 개방 확대는 단순 제도 변화가 아니라 자본 흐름, 환율 심리, 투자자 기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변화입니다.

기회로 바꾸려면 미리 준비하고 리스크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해요.

출처

Reuters :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outh-korea-plans-open-around-the-clock-fx-trade-president-says-2025-09-26/

Reuters : https://www.reuters.com/world/china/koreas-wobbles-over-us-trade-talks-awaken-won-bears-2025-09-25/

Reuters : https://www.reuters.com/world/south-korea-presidential-office-says-us-investment-demands-would-spark-financial-crisis-2025-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