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지식

2025년 반도체 시장 전망 - AI와 HBM이 이끄는 15% 성장

by 흰보리 2025. 10. 29.
반도체 칩 이미지

글로벌 반도체 시장, 2025년 15% 이상 성장 전망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역대급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 시장조사기관 IDC는 2025년 반도체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약 15% 이상 성장한 7798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과 고성능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반도체 산업이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세계반도체무역기구 역시 2025년 반도체 시장이 11.2% 성장해 약 985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부문은 24%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메모리 부문도 13% 성장이 전망됩니다.

회로기판 기술

AI 반도체와 HBM 시장의 폭발적 성장

2025년 반도체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은 AI 반도체입니다.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185억 달러에서 2024년 약 439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7년에는 1194억 달러 규모로 3배 가까이 커질 전망입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AI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약 8%에서 2025년 17.3%, 2030년에는 31.3%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 시장입니다. AI 반도체는 HBM과 동반되는 구조로, HBM 시장은 2022년 27억 달러에서 2029년 377억 달러로 연평균 46%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HBM3, HBM3e 등 고성능 제품에 대한 보급이 늘어나고,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차세대 HBM4가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회와 과제

한국은 HBM 시장 점유율에서 약 95%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경쟁적으로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HBM 제품은 2025년 생산분까지 예약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BM3E의 공급 부족 현상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반도체 회로 기술

한국수출입은행은 2025년 한국 반도체 수출이 전년 대비 1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전년 대비 17% 성장하며 상고하저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AI와 사물인터넷 등의 수요 증가로 약 8% 성장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중 무역갈등의 심화 가능성은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제재를 준수하면서도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유지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회복세

2025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AI와 모바일 수요 증가라는 이중 엔진을 동력 삼아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티 리서치는 2025년 D램 평균판매가격이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과거 극단적 등락을 거듭하던 메모리 시장이 안정 성장 궤도에 진입했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PC와 스마트폰용 메모리는 수요 부진이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애플이 차세대 아이폰에서 AI 기능 강화를 위해 메모리 용량을 8GB에서 12GB로 확대하면서 하반기부터는 수요 회복이 기대됩니다.

파운드리 시장과 첨단 공정 경쟁

2025년 파운드리 시장은 전년 대비 20% 성장한 1640억 달러 규모로 전망됩니다. TSMC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66%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수요 증가로 인해 첨단 노드인 20나노미터 미만 공정에 대한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웨이퍼 제조는 2025년 이후로 매년 7% 증가하고 첨단 노드 용량은 매년 12% 증가할 전망입니다.

2025년은 2나노미터 공정이 본격적인 대량 생산에 돌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TSMC, 삼성전자, 인텔이 2나노미터 공정에서 성능과 전력 소비, 면적당 비용의 균형을 맞추며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입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반도체 산업은 한국 경제의 중추입니다. 2025년 한국 경제 성장의 핵심 조건 중 하나로 반도체 경기 회복이 꼽히고 있습니다. 수출 품목 1위인 반도체 산업이 살아나야만 경제가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주요 반도체 수요국인 중국의 경제 회복이 지연되면서 반도체 수출이 부진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2025년 한국 경제가 0.8%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의 견조한 성장세가 경제 성장을 지탱할 것으로 보입니다. 설비투자는 금리 하락세와 반도체 경기 호조세가 유지되면서 약 1.8% 정도의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전망과 시사점

2025년 반도체 시장은 AI 기술 발전과 고성능 컴퓨팅 수요 증가에 힘입어 구조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HBM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며, 시스템 반도체는 AI 반도체가 성장을 주도할 전망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HBM 시장에서의 압도적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입니다.

다만 미중 무역갈등과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기술 격차를 충분히 벌려 HBM 시장을 지켜나가고, AI 반도체로 진입하며, 국내 반도체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한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2025년은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 • KDI 한국개발연구원 - 경제전망 보고서
  • • 삼일회계법인 - 2025년 국내외 경제전망
  • • 한국은행 - 경제전망보고서
  • • 현대경제연구원 - 2025년 한국 경제 전망
  • • 산업연구원(KIET) - 2025년 경제산업 전망
  • • IDC - 전 세계 반도체 기술 공급망 인텔리전스 보고서
  • • 한국수출입은행 - 2025년 반도체산업 수출 전망
  • • 세계반도체무역기구(WSTS)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