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투자지식

2025년 AI 반도체 투자 전망: HBM이 이끄는 한국 주식 시장

by 흰보리 2025. 11. 15.

 

반도체 칩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폭풍 성장

2025년은 AI 반도체 시장이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하는 해가 될 전망입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이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점이 당초 예상했던 2030년에서 무려 3년이나 앞당겨진 2027년이 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폭발적 성장의 중심에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반도체 시장이 매년 11~1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막대한 투자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 차트

HBM, 한국 반도체의 새로운 희망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은 2025년 반도체 시장의 절대 강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 HBM 시장의 95%를 장악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기술 경쟁을 벌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HBM의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31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 대비 무려 66.9%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가트너 분석에 따르면 HBM은 D램 출하량에서 2024년 5%에서 2028년 30.6%까지 비중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AI 반도체와 HBM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AI 서비스가 전달되는 밸류체인을 살펴보면 'AI 서비스 - AI 디바이스 - AI 반도체 - HBM' 순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성능 GPU 연산을 위해서는 HBM이 필수적입니다.

기술 투자

2025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전망

시티 리서치는 2025년 D램 평균 판매가격이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AI와 모바일이라는 더블 엔진이 수요를 견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반기부터는 범용 메모리와 차량용 메모리 수요도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목할 점은 HBM의 품귀 현상과 범용 메모리 간의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AI 데이터센터의 보강 투자 과정에서 폭발적인 연산량 증가는 일반 연산 체계로의 분배를 필요로 하며, 이는 D램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 대상 기업 분석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선두주자로 2025 회계연도 자본지출을 전년 대비 61% 늘린 134억 달러로 책정했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주요 공급사로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HBM4 12단 샘플 개발에 성공하며 기술 우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HBM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기술 격차를 좁히며 고부가가치 제품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투자 전략

2025년 투자 전략

증권가는 2025년 코스피 지수가 2250에서 3100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하반기 증시가 상반기보다 나은 상저하고 장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 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실제로 돈을 잘 버는 기업, 즉 실적이 뒷받침되는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KB증권은 2025년 국내 증시에서 성장주의 부각을 전망했습니다. 거래 회복과 수급 개선이 예상되며, 수급은 성장주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수 자체보다는 배당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 등 퀄리티가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운용이 각광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시 유의사항: 미중 무역 갈등과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입니다. 따라서 분산 투자와 함께 개별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전략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AI 시대의 투자 기회

2025년은 AI 반도체와 HBM이 주도하는 새로운 반도체 시장의 패러다임이 본격화되는 해입니다. 한국 기업들이 HBM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만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높은 변동성과 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섣부른 단기 매매보다는 펀더멘털이 탄탄한 기업을 선별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시장의 흐름을 빠르게 캐치하고, 모멘텀이 생길 때마다 적절히 대응하는 투자 자세가 2025년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출처

  • 메리츠증권 'AI 진화론 Ep3. 종횡무진' 보고서
  • 가트너(Gartner) 반도체 시장 분석
  • 시티 리서치 2025년 메모리 반도체 전망
  • KB증권 2025년 국내 증시 전망
  • 한국수출입은행 AI반도체 시장 현황 및 전망
  • 삼성증권 2025년 투자 전략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