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경제 지식

2025년 하반기 실질소득 회복세, 소비 여력은 얼마나 늘었을까?

by 흰보리 2025. 10. 11.

최근 발표된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 가계의 실질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서도 근로소득과 정부의 지원금이 버팀목 역할을 하며, 소비 여력의 회복세가 점차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체감 회복은 느리다”고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질소득 상승의 원인과 그 체감 효과를 살펴봅니다.

가계 소득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미지
가계의 실질소득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소비 여력이 개선되고 있다.

1) 근로소득과 정부 지원이 성장 견인

2025년 들어 고용시장이 안정되면서 정규직 중심의 근로소득이 증가했습니다. 여기에 에너지 바우처, 공공요금 지원금 등 정부의 보조금이 더해져 저소득층 중심의 실질소득 개선세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 소득 회복은 여전히 더딘 편입니다.

근로자와 직장인의 근로소득 상승 이미지
고용 안정이 이어지며 근로소득이 실질소득 상승의 중심이 되고 있다.

2) 소비 여력의 회복과 한계

실질소득이 늘었지만, 물가 상승과 주거비 부담이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외식·교통·통신비 등 고정지출 비중이 커 소비의 여유분은 제한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화점과 온라인쇼핑 등 일부 소비 분야에서는 소폭의 회복세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가계 예산과 소비 지출 관리 이미지
지출 관리와 예산 조정이 가계의 체감 회복을 좌우한다.

3) 향후 전망: 점진적 개선 기대

전문가들은 하반기 실질소득이 완만하게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물가 안정과 고용 회복이 병행된다면 소비심리도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가계부채 부담이 높아 단기적 소비 확대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마무리

실질소득의 회복은 경기 전반의 체감 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득 상승분이 필수지출에 묶이지 않도록 지출 구조를 점검하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