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경제 지식

2025년 하반기 생활물가 안정세, 하지만 체감경기는 왜 여전히 냉랭할까?

by 흰보리 2025. 10. 11.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초반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여전히 냉랭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활물가 안정의 원인과 실제 소비심리 간 괴리를 분석하고, 향후 경기 체감 개선을 위한 방향을 살펴봅니다.

전통시장과 물가 안정 흐름
생활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소비심리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1) 물가 안정의 주요 요인

국제 유가 하락과 농산물 가격 안정, 원자재 공급망 회복이 주요 원인입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와 에너지 요금 동결 정책도 단기적 물가 완화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외식·서비스 부문은 여전히 가격 상승 압력이 남아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와 쇼핑 이미지
소비자들은 여전히 ‘비싸다’는 체감을 호소하고 있다.

2) 체감경기와 통계의 괴리

통계상 물가 상승률이 낮아져도, 시민이 자주 접하는 품목의 가격이 높게 유지되면 체감 인플레이션은 해소되지 않습니다. 커피, 외식, 교통비 등 ‘생활 빈도 품목’이 체감경기를 좌우합니다. 전문가들은 “물가보다 심리 회복이 더디다”고 평가합니다.

소비자 심리와 지출 관리 이미지
지출은 줄었지만 심리적 불안감은 여전한 상태다.

3) 체감 경기 개선을 위한 과제

  • 서민 밀착형 지원 정책의 체감도 제고
  • 공공요금·통신비 등 필수 항목의 안정 지속
  • 소비자심리 회복을 위한 일자리·소득 확대

마무리

생활물가가 안정되는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하지만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으면 경기 회복은 더뎌질 수밖에 없습니다. 단순한 수치 안정이 아닌, ‘생활 속 체감 안정’을 만드는 정책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