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산운용

프라이빗 크레딧 실전 가이드: 금리·담보·코버넌트로 읽는 수익/리스크

by 흰보리 2025. 9. 17.
프라이빗 크레딧 투자 개념

은행 대출이 위축되는 금리·규제 환경 속에서 프라이빗 크레딧(Private Credit)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단순히 “대체 대출”이 아니라, 변동금리·담보·코버넌트라는 구조적 장치를 통해 위험조정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금리 구조: 변동금리로 인플레와 금리 위험 대응

프라이빗 크레딧 대출은 대부분 SOFR+스프레드 같은 변동금리 구조를 채택합니다. 이는 금리 상승기에 자동으로 쿠폰이 올라, 인플레이션 방어 기능을 갖추게 합니다. 반면 금리 하락기엔 수익이 줄어드는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변동금리와 대출 구조

2) 담보 구조: 리스크를 줄이는 자산 기반

대출은 대개 부동산, 인프라, 발전소, 데이터센터 같은 실물자산을 담보로 합니다. 담보는 만약의 부도 상황에서 회수율(Recovery Rate)을 높여, 손실 위험을 줄이는 장치입니다. 특히 담보 가치 평가LTV(Loan to Value) 관리가 핵심 리스크 관리 포인트입니다.

담보와 회수율 관리

3) 코버넌트: 계약 조건으로 리스크 제어

코버넌트(Covenant)는 차입자가 지켜야 하는 재무·운영 조건입니다. 예: 최소 DSCR 유지, 추가 차입 제한, 배당 제한 등. 투자자는 이를 통해 차입자의 재무건전성을 모니터링하고, 조기 상환 옵션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코버넌트가 약하면 수익률은 높지만 위험이 커집니다.

코버넌트 조건 관리

4) 주요 투자 섹터

  • 부동산 개발 금융 (예: 물류센터, 주택 프로젝트)
  • 인프라 (전력, 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 기업 인수금융 (Leveraged Buyouts)

이들 섹터는 안정적 현금흐름과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프라이빗 크레딧 수익률을 뒷받침합니다.

마무리: 수익은 구조에서 나온다

프라이빗 크레딧은 단순히 ‘고수익 채권’이 아닙니다. 금리, 담보, 코버넌트라는 3대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고 관리하느냐가 수익률과 손실률을 좌우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누가 빌려주나”보다 “어떤 구조로 빌려주나”를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Preqin — Private Debt Report 2025 : https://www.preqin.com/insights/research/reports/private-debt-report-2025
PitchBook — Private Credit Market Outlook : https://pitchbook.com/news/reports/q2-2025-global-private-credit-outlook
BlackRock — Private Credit Insights : https://www.blackrock.com/institutions/en-axj/insights/private-credit
Apollo — Private Credit Investing Guide : https://www.apollo.com/our-businesses/credit/private-credit